Skip to main
양동신
'아파트가 어때서' 저자. 다양한 국가에서 인프라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를 입체적으로 바라봅니다. 우리 공동체가 지금보다 더 빛나는 도시, 지속가능한 공간을 만들어가는 데 벽돌 한 장이라도 기여하고 싶은 바람을 품고 있습니다.
단일민족국가라는 오해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요즘 점심시간에 종로 거리를 오가다 보면 정말 많은 외국인 비즈니스맨들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서울출입국 외국인청 세종로출장소가 종각역 바로 앞에 위치하다 보니 겉으로만 그렇게 보일 수도 있을 텐데요. 실제로 SFC, 교보문고 빌딩을 비롯하여 D타워, 그랑서울, 센트로폴리스 등 다양한 오피스빌딩에는 수많은 외국회사의 지점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외국인들과 같이 일을 하다 보면 문화적 차이(Cultural Differences)를 많이 경험하게 됩니다. 가끔 한국 사람들과 외국인 분들과 여담을 나누다 보면 한국 사람들은 정말 수천년 가까이 단일민족이었다는 사실을 자랑스럽게(?!) 말씀하시는 분들을 만나게 되는데요. 이는 사실과 다를뿐더러, 간혹 외국인들과의 거리감을 더 느끼게 하는 트리거로 작용하게 됩니다. 우리의 역사를 돌아보면 꽤나 많은 외국인 분들과의 교류 및 혼합을 찾아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그 단일민족국가라는 오해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허황옥과 혜초 먼저 김해 허씨의 조상으로 알려진 허황옥을 생각해볼까요.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등장하는 허황옥은 고향이 인도 아유타야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허황옥은 김수로왕과 결혼을 하여 10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이 중 2명에게 허씨 성을 주어 김해 허씨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아유타(阿踰陀)는 인도 우타프라데시주의 갠지스강 지류에 위치한 도시인 아요디아(Ayodhya)로 추정되는데, 허황옥의 존재로 인해 지난 2000년 경상남도 김해시와 자매결연을 맺기도 했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와 같은 역사 때문에 얼마 전까지 김해 김씨와 김해/양천 허씨는 혼인할 때 꽤나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고 합니다. 물론 허황옥의 인도출신 진위여부는 학계에서도 논쟁이 치열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양동신
2023-02-16
지붕에서 미래로 이어지는 '닥터코퍼(Dr. Copper)' 이야기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살아오며 수백 번은 더 들어왔으며 여전히 접하고 있는 합금인 '청동', 하지만 우리가 정확히는 잘 모르고 있는 이 재료에 대해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청동은 동양과 서양에서 부르는 이름이 다릅니다. 동양문화권에서 청동은 靑銅이라 칭하는데, 이는 푸를 청, 구리 동의 합성어입니다. 즉, '푸른 구리'라는 뜻이지요. 하지만 청동은 영어로 bronze인데요. 여기서는 '푸르다'라는 뜻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옥스포드-구글 언어자료에 따르면 bronze의 어원은 17세기 중반 이전 프랑스어 bronze, 라틴어 bronzo, 그리고 페르시아어 birinj에서 왔다고 합니다. 페르시아어 birinj는 현대영어 brass와 유사한 단어인데, 이는 황동인 놋쇠제품이나 금관악기를 이르는 말입니다. 푸르다라는 뜻보다는 노랗거나 황금색을 띄는 말이지요. 사실 황동의 영역으로 가면 완전 다른 물질이 되는 게, 청동은 구리(Cu)에 주석(Sn)을 첨가하여 만든 합금이고, 황동은 구리(Cu)에 아연(Zn)을 첨가하여 만든 합금이기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청동은 기원전 2~3000년경에 발달한 청동기시대부터 사용하였으며, 황동은 16세기 아연 원소가 발견된 이후부터 제조되었기 때문에 청동과 황동은 엄연히 다른 단어로 구분되어야 합니다. 올림픽을 주의 깊게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올림픽에서 사용되는 동메달은 영어로 Copper medal이 아니라 Bronze medal로 부릅니다.
양동신
2023-01-19
장마일까? 소나기일까? 몇 가지 데이터로 본 부동산 시장에 대한 단상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길고 길었던 부동산 가격의 상승이 하락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의뢰하여 한국부동산원이 조사 발표하는 지역별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최근 1년간 아파트 가격의 하락은 전국적인 트렌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참조 -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떨어지는 것은 세종시나 대구와 같은 특정 지역이고, 전체적인 트렌드는 아니라고 하실 분들이 계실 수 있어, 서울만 따로 떼어 놓은 데이터 역시 공유해 드립니다. 통계의 시차상 9월까지밖에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데, 12월 현장의 온도를 생각하면 하락세는 계속해서 연장될 것 같습니다. 긴 시계열로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2004년부터 시작해 2008년 초까지 드라마틱하게 오른 서울의 아파트 가격은 이후 2012년까지 하락장을 겪은 후, 박스권을 형성한 후 2015년~2018년, 그리고 2019년~2021년 두 번의 폭등장을 연출한 바가 있습니다. 위 그래프를 보면 유의미한 변곡점이 2008년과 2018년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2022년 말 현재 우리가 궁금한 지점은 과연 현재가 2008년의 변곡점인지, 2018년의 변곡점인지일 것입니다. 2008년의 변곡점이라면 현재의 부동산 경기침체는 꽤 오랜 기간 지속될 것이고, 2018년의 변곡점이라면 한 타임 쉬고 다시 폭등장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양동신
2022-12-14
강력한 리더십이란 허상에 대해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가끔 일을 하다 보면, 자신의 조직에 강력한 리더십을 가진 사람이 없다는 것에 대해 아쉬워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순신 장군과 같이 누군가 뛰어난 지도자가 카리스마 있게 조직을 이끌어 가고, 우리는 그것을 잘 따라가며 훌륭한 성과를 내고 싶어 하는 마음이겠지요. 하지만 역사적인 사례들을 돌아보면 그러한 강력한 리더십이라는 것이 때로는 허상일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조직 전체의 관점에서 보자면 강력한 리더십은 오히려 조직의 발전에 해악을 끼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전제정치 국가들 과거 냉전 시대에는 전 세계의 정치체제를 민주주의와 공산주의로 구분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뭐랄까, 민주주의와 전제정치로 구분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제정치는 영어로 Autocracy, 한자어로는 專制政治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단일 개체가 절대 권력으로 통치하는 정부를 말하는 것이지요. 이러한 단일 개체는 보통 강력한 리더십을 가진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북한의 김정은, 그리고 최근 3연임으로 굳히기에 들어간 중국의 시진핑과 같은 사람들이지요. 우리는 북한을 보고 공산주의는 곧 전제정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상 최대의 공산주의 국가였던 소련의 사례, 시진핑 집권 이전 중국의 사례를 본다면, 공산주의가 꼭 전제정치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스탈린 이후 소련은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등등 마지막 8대 중앙위원회 서기장이었던 미하일 고르바초프까지 지도자는 계속하여 변경되어 왔습니다. 중국 정치를 되돌아보면, 물론 마오쩌둥은 죽는 그날까지 중국공산단 중앙위원회 주석 자리를 놓지 않았는데요.
양동신
2022-11-21
일제강점기 '건축왕'이 지은 북촌 한옥부터.. 서울 주택공급 100년 역사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서울은 걷기만 해도 참 좋은 곳입니다. 높은 산도 많고, 넓은 강은 물론 아기자기한 지천(支川)도 많아 다이내믹한 풍경이 곳곳에서 펼쳐집니다. 얼마 전 주말에 회사 뒤편에 있는 인왕산에 다녀왔는데, 한양도성 너머로 보이는 종로의 오피스 빌딩, 그리고 그 뒤로 보이는 남산의 영롱한 모습, 주변을 이루는 울창한 숲과 파란 하늘의 조화는 일품이더군요. 물론 서울보다 훨씬 더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도시는 우리나라에도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을 걷는 매력이 더 있는 이유는 그 유구한 역사와 흔적들일 것입니다. 구도심을 걷다 보면 굳이 고궁과 같은 유적지가 아니더라도 수백 년의 흔적이 느껴지는 도시의 지문들과 많이 마주치게 됩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이러한 부분을 인지하지 못할 때는 그저 허름한 건물이라고 여겨졌던 것들이, 조금씩 알아가면 더 흥미로운 객체로 보이기 시작합니다. 오늘은 서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백 년 전의 흔적들을 위주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먼저 북촌입니다. 한옥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지역은 북촌입니다. 북촌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에서 종로 이북 지역을 가리키던 명칭인데요, 최근에는 경복궁 동쪽에 위치한 가회동, 삼청동, 계동, 익선동 한옥마을 일대를 주로 말합니다. 이 지역은 한양도성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어서 예로부터 최상의 주거지로 각광받았습니다. 얼마 전 북촌에 갔는데, 많은 외국인 관광객들 때문에 놀란 적이 있습니다.
양동신
2022-10-27
심상치 않은 위스키 열풍.. 업계 양대산맥을 알아보자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위스키 수출입무역통계 숫자가 심상치 않습니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스카치 위스키(Scotch Whisky) 수입금액은 약 8000만달러(약 1138억원)로 같은 기간 작년 수입금액인 약 5200만달러(약 739억원) 대비 54%가량 증가했습니다. 이는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2020년 상반기와 비교하면 그 차이가 더 극명해지는데, 2020년 상반기 수입한 스카치 위스키 수입금액 총액은 2400만달러(약 341억원)에 불과했습니다. 이와 비교하면 3배 이상 오른 규모입니다. 연도별 스카치 위스키 수입금액을 보면 사실상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가뿐히 상회하고 있는 게 눈에 띕니다. 스카치 위스키 수입시장은 2018년까지 1억달러(약 1423억원)이 채 안 되던 시장이었으며,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7800만달러까지 줄어들었던 시장이었으나, 올해는 1.5억달러를 가뿐히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같은 상황은 스카치뿐만 아니라 버본 위스키(Bourbon Whiskey)도 다르지 않습니다. * 스카치 위스키의 경우 철자를 Whisky로 하지만, 버본 위스키의 경우 Whiskey가 일반적입니다. 이는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철자법이 상이한 탓인데요, 증류장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도 종종 존재합니다. 스카치에 비해 시장규모가 작은 버본의 경우, 이미 8월까지의 통계가 작년 전체 수입규모를 압도해 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양동신
2022-09-29
김훈의 글쓰기에서 배우는 보고서 작성법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평범한 회사를 다니며 살아가는 제가 김훈 작가의 소설을 좋아하는 이유는 그의 잘 직조된 서사능력에 있지만, 그의 깔끔한 작문법에도 있습니다. 군더더기 없이 한 단어 한 단어 눌러 쓴 그의 문장을 보다 보면 현업에서 보고서를 쓸 때도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이죠. 제가 작문에 있어 조사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된 것은 순전히 그의 문장 덕분이었습니다. '칼의 노래' 가장 널리 알려진 그의 문장을 한 번 들여다보겠습니다. "버려진 섬마다 꽃이 피었다." 소설 '칼의 노래' 가장 첫 번째 문장입니다. 김훈 작가가 고민을 많이 한 것으로도 유명한 이 문장의 조사를 바꾸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버려진 섬마다 꽃은 피었다." (참조 - 칼의 노래) '이'는 주격조사이고 '은'은 보조사입니다. 따라서 '꽃이 피었다'는 사실의 세계, 그러니까 주어인 '꽃'이 피었다는 사실을 담백하게 묘사하게 됩니다. 반면 체언에 결합하여 특별한 의미를 더해주는 보조사가 붙게 되면 문장의 뉘앙스는 아주 달라지게 됩니다.
양동신
2022-08-31
90년대에 데뷔한 영화감독 3인.. '각자의 길'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얼마 전 박찬욱 감독의 신작 '헤어질 결심'을 봤습니다. 주연배우의 훌륭한 연기는 물론 원숙한 영상미, 미장센과 카메라워킹, 짜임새 있는 네러티브, 그리고 산과 바다를 필두로 한 다양한 은유와 대비 요소 등을 보고 있노라니, 과연 이 영화는 영상이 우리에게 줄 수 있는 많은 것들을 함유한 선물세트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십여년 전, 공학을 전공하고 본격적인 밥벌이의 길을 시작하기 전, 영화를 업으로 삼아보려고 했던 시절도 있었는데, 이 영화와 기생충을 생각하니 서양 및 일본 영화 등으로 점철된 세계영화사도 점차 개편이 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대중가요를 비롯하여 웹툰, 예능, 드라마 등 다양한 문화자본이 수출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90년대만 하더라도 한국의 대중문화는 수입 위주였고 일부는 외국의 작품을 카피하면서 콘텐츠를 생산해 나가던 시기였습니다. 세계 3대 영화제는 물론 대중적인 할리우드에서도 한국이라는 나라의 흔적은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당시 국내에는 '씨네21'이나 '키'노와 같이 영화를 다루는 매체가 많이 있었습니다. 이들 매체를 통해 접했던 전 세계 영화계를 강타했던 흐름 중 하나는 덴마크의 '라스 폰 트리에(Lars von Trier)'를 주축으로 한 도그마95 선언이었습니다. 당시 다양한 매체에서 이 도그마95를 주목한 까닭은 2000년 깐느 영화제 황금종려상(53회)을 수상한 작품 어둠속의 댄서 (Dancer In The Dark)를 만든 감독이 바로 '라스 폰 트리에'였기 때문이었습니다. 도그마95를 주창한 사람들은 이 라스 폰 트리에를 비롯한 4명의 덴마크 영화감독들이었으며, 이들은 당시 유행하던 작가주의 영화와 할리우드 장르 영화를 부정하고 영화 자체의 순수성을 회복하려는 선언을 했습니다.
양동신
2022-08-04
중세 유럽에선 어떻게 150m 넘는 건물을 지을 수 있었나.. 압축력만의 기술 고딕건축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지난 글에서 유럽의 석조건축물에 대해 이야기 했는데, 간혹 석조건축으로만 어떻게 150m가 넘는 건물을 지을 수 있는지 의아해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고요. 물론 현대건축의 영역에서 150m가 넘는 건물, 거기다 빽빽하게 수백 채의 주거공간을 넣는 일은 문제도 아니지만,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하지 않았던 1000년 전에 그런 건물을 만들 수 있었다는 것에 놀라움을 느끼시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고딕건축의 기술을 바탕으로, 어떻게 그렇게 높은 건축물을 만들 수 있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조 - 아파트 재건축 얘기를 하면.. 유럽의 오래된 건축물을 떠올리는 분들께) 유럽 여행을 하다 보면 가장 많이 마주치는 건축양식 중 하나가 고딕건축입니다. 고딕건축 하면 뾰족한 첨탑이 먼저 떠오르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 사실 고딕건축의 매력은 인간이 압축력이라는 힘을 가지고 얼마나 중력을 거스를 수 있는지 그 극한을 보여줬다는 것에 있습니다. 여기서 저는 역사적 혹은 미학적 관점은 배제한 채, 오로지 구조공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고딕건축을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구조공학은 어떤 것일까요? 구조(Structure)는 의식주 중 주(住)를 가능케 하는 방법으로서 공간을 만들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인간이 만들어 낸 구조물은 자연으로부터 비바람을 막고 쾌적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안전한 보호막(Shelter) 역할을 합니다. 이때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하중(Load)이 존재하는데, 구조물을 만들 때는 이러한 하중을 견딜 수 있게 정량적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하중에는 중력에 의한 고정하중, 지진하중, 풍하중과 같이 일반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것부터 적설하중, 토압 및 유체압, 진동, 충격, 크리프, 온도변화 및 탄성수축, 부등침하 등 정말 다양한 것들이 존재합니다.
양동신
2022-07-06
아파트 재건축 얘기를 하면.. 유럽의 오래된 건축물을 떠올리는 분들께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필자는 1년 전 '로마시대 건물도 멀쩡한데 한국 아파트는 왜 30년만 되면 다시 짓느냐고 하면..'이라는 포스팅을 통해, 구조물의 사용성(Serviceability)에 대해 이야기하였습니다. (참조 - '로마시대 건물도 멀쩡한데 한국 아파트는 왜 30년만 되면 다시 짓느냐고 하면..) 전 세계 어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설계수명(Design life)은 존재하는 것이며, 공학적 측면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건축이나 리노베이션은 필수적이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이와 같은 글을 쓰면 응당 따라오는 질문이 유럽의 오래된 건축물들에 대한 것입니다. 겉으로 보이기에는 수백 년이 너끈하게 넘어 보이는 이 건축물들은 왜 때문에 오래, 그리고 잘 사용되고 있느냐 하는 의문이지요. 현대적인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과 오래된 석조 건축물을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석조 건축물의 시대 유럽여행을 하면 보게 되는 유수한 랜드마크 구조물들은 대부분 과거 건축기술로 축조한 석조 건축물들입니다. 로마네스크 양식, 고딕 양식, 심지어 가우디의 건축물들까지 모두 전통적인 방식으로 지어진 석조 건축물들이지요. 이러한 건축물들의 특징은 정말 한 땀 한 땀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지반에서부터 돌을 중력을 거스르며 어렵게 어렵게 쌓아 올린 것들입니다. 물론 고딕건축에 사용된 첨두아치(pointed arch), 늑골궁륭(rib-vault), 공중부벽(Flying buttress)과 같은 공법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방법이었습니다. *첨두아치(pointed arch) 꼭대기가 뾰족한 형태의 아치. 고딕 건축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 *늑골궁륭(rib-vault) 천장의 무게를 분산하기 위해 교차하는 형태로 설치한 갈비뼈 모양의 부재(部材).
양동신
2022-06-13
북유럽 가구에 관심 있다면 알아둬야 할 이름 '아르네 야콥센'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프리츠 한센 최근 고급 인테리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북유럽 가구와 건축 디자인에 대한 대중의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습니다. 가구계의 명품으로 통하는 프리츠 한센(Fritz Hansen)의 디자인 체어는 하나에 수백만원, 수천만원을 호가하지만 전 세계는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상당히 큰 규모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미 2016년에 국내 매출 규모 100억원 수준을 달성했으며, 작년에는 SSG닷컴에 입점을 하는가 하면, 올해는 제주도에서 팝업스토어까지 만들었습니다. (참조 - 시대를 초월한 제품으로 삶을 디자인하다) 프리츠 한센이라는 브랜드는 물론 생소하시겠지만, 가구들은 눈에 익숙할 것입니다. 영화나 드라마 소품으로 자주 쓰이기도 하고 '나혼자산다'나 '집사부일체' 등 프로그램을 통해 연예인들의 집에서 자주 본 가구들이기 때문입니다. 이 작고 동글동글한 의자의 정품 가격은 일반적으로 800만원 내외, 최고로는 2000만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가구들은 북유럽에서는 언제부터, 누가 만들기 시작했을까요? 아르네 야콥센 이를 알기 위해서는 덴마크의 천재 건축가이자 디자이너, 아르네 야콥센 (Arne Emil Jacobsen, 1902~1971)의 작품세계를 이해해야 합니다. 프리츠 한센은 아르네 야콥센이 디자인한 가구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권리를 가진 회사이지 에그체어와 같은 제품을 발명한 회사는 아닙니다.
양동신
2022-05-12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보여주는 AI의 미래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CEO의 프리젠테이션을 생각하면 먼저 스티브 잡스가 떠오릅니다. CEO임에도 불구하고 기술 및 전략의 세부까지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으니 가능한 유려한 프리젠테이션이었습니다. 그가 떠나간 지 십 년이 훌쩍 지났지만 여전히 그의 프리젠테이션은 우리 기억 속에 강하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최근 어느 기업의 프리젠테이션을 보며, 오래전 스티브 잡스가 떠올랐는데요. 현존하는 반도체 기업 중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엔비디아의 창업자이자 CEO, 젠슨 황이 그 인물이었습니다. 1963년 대만에서 출생한 미국인인 젠슨 황은 환갑에 가까운 나이인데요. 한 시간 반이 넘는 프리젠테이션을 처음부터 끝까지 이끄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분명 중간중간 이해하기 어려운 수준의 고차원 기술에 대한 소개도 있었는데, 그는 일상의 언어로 아주 자연스럽게 설명을 이어 나갔습니다. 회사를 맨손으로 만들고 스스로 GPU를 발명한 사람이니 가능한 일입니다. 그 옛날 아인슈타인은 아래와 같은 말을 남겼는데요. "If you can't explain it simply, you don't understand it well enough. (타인에게 말로 쉽게 설명할 수 없으면, 제대로 이해하지는 못한 것이다)" 그는 분명히 엔비디아의 거의 모든 기술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GTC(GPU technology conference)를 통해 현존하는 최고의 반도체 팹리스 기업, 엔비디아는 어떤 미래를 만들어나가고 있는지 한번 들여다보겠습니다.
양동신
2022-04-10
만화 '하이큐'를 보며 떠올린 조직관리의 원칙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집에 거주하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넷플릭스를 보는 시간은 늘어나고 있습니다. 얼마 전 넷플릭스에서 '하이큐'라는 배구 만화를 봤는데, 이 만화는 스포츠 만화이기도 하지만 조직관리 측면에서도 큰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오늘은 이 하이큐라는 만화 시즌 1을 바탕으로, 더 나은 조직을 만들어나가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이큐라는 만화를 혹시 들어보셨나요? 하이큐는 2020년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만화 4위, 스포츠 만화 부분에서는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히트한 작품입니다. 1990년대가 슬램덩크의 시대라면, 2010년대는 하이큐의 시대라 말할 수도 있을 정도입니다. 역대 소년점프 스포츠 만화 중 누계 부수로는 4위에 랭크된 히트작이기도 합니다. (1위는 물론 슬램덩크) 하이큐는 배구라는 스포츠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작품입니다. 배구는 여타 구기종목과 다른 부분이 꽤나 많은 스포츠입니다. 먼저 코트가 나뉘어 있어서 상대방과 신체적 접촉을 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코트가 나뉘어 있는 스포츠 중 하나로 테니스를 들 수 있는데, 배구는 테니스와 다르게 단체종목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3번 이내의 터치 후 상대방 진영으로 공을 넘겨야 하는데, 한 사람이 연속 터치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조직력이 매우 중요하게 됩니다. 게다가 로테이션이라는 규칙이 있어서 후위 선수는 공격이나 블로킹을 할 수 없는 제약사항까지 발생하게 됩니다. 결국 구조적으로 축구나 농구와 다르게 경기력이 매우 뛰어난 슈퍼스타 한 명이 게임을 일방적으로 이끌어가지 못하게 됩니다.
양동신
2022-03-21
메타버스 주가 폭락, 닷컴버블과 얼마나 닮았을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2021년을 핫하게 달궜던 단어인 메타버스가 2022년 새해 벽두부터 큰 챌린지를 받고 있습니다. 작년 말 전고점을 찍었던 로블럭스, 유니티 소프트웨어와 같은 기업의 주가는 반토막이 났으며, 이름마저 '메타 플랫폼'으로 과감히 변경한 페이스북은 무려 하루 만에 시가총액 277조원이 증발해버리는 사태까지 발생했습니다. 아무리 미국 연방준비은행이 25bp(0.25%포인트)니 50bp니 하며 금리를 올린다고 하지만 이렇게 속절없이 떨어지는 메타버스 관련 주가를 보니, 문득 22년여 전 닷컴버블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습니다. 1999년 코스닥 지수가 무려 3000에 이르렀다는 그 전설따라삼천리 전설적인 닷컴버블 말이지요. 당시 나스닥 역시 무려 4500을 넘어서다 반년 만에 1500 이하로 급격히 떨어진 전 세계적인 사건이 있었습니다. 닷컴버블은 왜 일어났을까요? 한마디로 요약을 해보자면, 이상과 현실의 시간차로 인해 발생한 버블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닷컴버블이 일어난 시기는 1999년에서 2000년으로 이어지는 시점이었습니다. 인터넷이라는 신문물이 세상에 등장하자 이것이 무언가 대단한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는 기대감이 증폭되었습니다.
양동신
2022-02-16
LG엔솔의 가치, 얼마나 될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우리나라가 전 세계적으로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시장점유율을 가진 영역은 몇 가지 존재합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 대표되는 메모리 반도체, 거제와 울산으로 대표되는 조선산업, 그리고 최근 파이를 넓혀가고 있는 배터리 산업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메모리 반도체는 시스템 반도체 파운드리로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고, 조선업은 깊은 불황의 터널을 지나 환경규제 대응에 따른 슈퍼사이클을 조금씩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배터리 산업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요? 오늘은 이번 달 27일에 IPO를 진행하는 LG 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의 투자설명서를 바탕으로 배터리 산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터리 산업이 주목받는 이유 먼저 현재 배터리 산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2차 전지'에 대한 개념이 필요합니다. 2차 전지가 최근 들어 각광받고 있는 단어이긴 하지만, 사실 우리는 오래전부터 2차 전지를 접해왔습니다. 일반적으로 한 번 쓰고 버리는 배터리가 1차 전지(Primary battery)라면, 외부전원으로 공급받은 전류를 통해 충전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2차 전지(Secondary cell battery, a.k.a. Rechargeable battery)입니다. (참조 - 에너지의 '핵인싸' 2차 전지 산업 어디까지 왔지?) 이 2차 전지는 납축전지로 1900년대 자동차에서부터 사용되었습니다. 90년대에는 CD플레이어나 워크맨, 전동공구에 최근에는 노트북 및 휴대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요. 이렇게 역사가 오래되었는데, 유독 최근 들어 이 '2차 전지'라는 용어가 각광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답은 전기자동차 시장의 확대에 있습니다. 차량 인도량 기준 2017년 10만대가량에 불과했던 테슬라는 작년 93만대로 기록적인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양동신
2022-01-17
이제 애플에 혁신이 없다고 하는 지적인 게으름에 대해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기업가치가 높은 기업은 어디일까요? 이제는 상식 수준의 답변이 되었지만, 정답은 애플입니다. 2021년 12월 23일 애플의 시가총액은 2.89조달러 수준으로 원화로 3427조원가량 평가되고 있습니다. 얼마 전 MS가 역전을 시도했지만, 따라올 테면 따라와 보라는 듯이 애플은 다시 All time high를 경신하며 미지의 영역인 기업 시가총액 3조달러에 근접해 나가고 있습니다. 간혹 애플을 두고 스티브 잡스 이후 혁신이 없다고 폄하하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렇다면 애플은 왜 스티브 잡스 이후 시가총액이 8배가량 더 오를 수 있었을까요. 혹시 겉으로 보이는 아이폰과 아이패드로만 설명할 수 없는 애플의 어떤 다른 점이 있지는 않을까요. 오늘은 세계 최고 기업가치를 평가받고 있는 애플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애플의 실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 먼저 애플의 사업군을 카테고리별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애플의 사업군은 크게 제품(Products)와 서비스(Services)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제품으로는 아이폰, 맥, 아이패드, 그리고 웨어러블 및 액세서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로는 광고, 애플케어, 클라우드 서비스, 디지털 콘텐츠, 그리고 결제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연도별, 부문별 매출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시면 아이폰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독보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양동신
2021-12-27
온라인 임장의 차원을 바꾸는 기업 'Matterport'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최근 메타버스(Metaverse)가 정말 핫합니다. Meta와 Universe의 합성어인 이 단어에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는 까닭은 90년대 인터넷의 등장과 같이 무언가 새로운 세상이 펼쳐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러한 현상은 싸이월드와 비교되며 조소 섞인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가상현실에서 아바타 같은 캐릭터를 활용하고 도토리를 주고받으며 사회문화적 활동을 하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라는 말이지요. 하지만 최근 기술의 발전을 보면 조소 섞인 평가를 섣부르게 할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대표적인 것이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기술(ICT)입니다. 주지하다시피 이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VR) 등으로 대표되는 기술의 혁신인데요. 테슬라가 보여준 자율주행차량의 혁신은 인공지능(AI)의 존재로 가능했던 것이고, 멀게만 느껴졌던 사물인터넷(IoT)도 테슬라가 AI 데이에서 선보인 '테슬라봇'으로 더 큰 진전을 예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싸이월드 시절에는 휴대폰으로 영상통화를 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을 하지 못했으며, 현재 M1 max 맥북과 당시 구닥다리 맥북의 성능 차이는 현재 테슬라 모델 3와 당시 기아 옵티마 정도의 성능 차이와 비견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사이 아이폰과 갤럭시는 수십 번의 발전을 거듭했으며, 현재 우리는 아주 다른 세계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기술의 발전 중 눈여겨봐야 할 것이 또 하나 있는데, 매터포트(Matterport)라는 회사가 개발하고 있는 현실 세계의 디지털화 기술입니다.
양동신
2021-11-25
"당신은 자녀를 완성시키지도, 파괴시키지도 못한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사회생활을 시작하면 대부분의 시간을 직장에서 보내게 됩니다. 하지만 결국 직장생활이라 하는 것도 개인의 삶을 지지하기 위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게 되면 제한된 시간으로 인해 고민은 깊어지게 됩니다. 예전 70-80년대라면 아빠는 일만 하고 엄마는 양육을 하는 시스템이었겠지만, 현대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가정은 그렇지 않죠. 아빠가 외벌이라 하더라도 최대한 가정에 서포트해야 하며, 맞벌이라면 사실 아빠 엄마 구분은 별 의미가 없어지게 됩니다. 최근에는 코로나 사태 때문에 재택근무가 활성화되었는데, 덕분에 일을 하면서도 양육을 해야 하는 상황은 더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굳이 이런 부모의 입장에서뿐만 아니라, 성인이 된 자녀 입장에서도 전통적인 양육의 관점은 한번쯤 되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학계에서는 끊임없이 많은 가설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양육가설 역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오늘은 전통적인 양육가설을 뒤집는 이야기를 한번 전해보고자 합니다. 부모의 고민 아이를 낳기 전까지는 아이가 온전히 건강하게 나오기만을 기대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세상에 나오고 나면 그 건강함이 조금씩 복잡해지기 시작하지요. 수유는 잘 되고 있는지, 숨은 잘 쉬면서 숙면을 취하는지, 소화는 잘하고 있는지 들여다보게 됩니다. 그렇게 배밀이를 하고, 뒤집기에 성공하면 부모는 뛸 듯이 기쁩니다. 한 걸음 한 걸음 발을 떼며 걸음마를 시작할 때는 또 어떤가요. 세상의 모든 행복은 그렇게 아이가 신체적으로 완성되어가는 것에서 느끼게 됩니다.
양동신
2021-10-29
탄소중립 시대에 꼭 알아야 할 에너지 이야기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했을 때, 필자도 반감이 먼저 들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참 사람들 단어 만들어내기 좋아하네'가 처음 들었던 생각이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며, 정말 그러한 변화가 산업과 정책의 흐름으로 적용되는 것이 눈에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에너지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적어도 우리는 현재 산업혁명 이후 가장 큰 폭의 변화의 순간에 살아가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영국 에너지 위기의 원인 최근 영국을 중심으로 전력 도매가격 상승 현상이 일어나고 있고, 이 때문에 많은 국내 주요 언론은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현실적이지 않음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영국에서는 이 같은 에너지 위기의 원인을 재생에너지에서 찾고 있지 않습니다. 아래 가디언 기사를 보면 현재 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1) 중국의 COVID 이후 경기회복 2) 러시아의 가스 게임 3) 에너지 변환을 꼽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조 - What caused the UK's energy crisis?) 여기서 3번 에너지 변환이 국내 주요 언론에서 다루는 것이지만, 이 또한 영국에서는 에너지 변환 과정의 일부로 보고 있지, 일시적인 전력 도매가격 상승으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중단해야 한다는 논의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의 도입이 거스를 수 없었던 흐름이었던 것과 같이, 향후 수십 년간 화석연료의 2선 후퇴 역시 거스를 수 없는 흐름으로 보입니다. 위에서 제가 미래 화석연료를 '퇴장'이 아닌 '2선 후퇴'로 표현한 것을 의아하게 여기시는 분들이 계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석연료가 우리 곁에서 사라지기 위해서는 수십년이 아닌 수백년의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양동신
2021-09-30
당신의 이력서는 안녕하십니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필자는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대기업에 입사하여 10년 넘게 한 회사를 다녔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사람들처럼 이 기업에서 정년을 채우는 것이 저의 목표이자 운명이라 생각했습니다. 생각이 변화한 시점은 인도에서 근무하기 시작하면서부터입니다. 인도에서는 타타그룹(Tata group)이라는 그 나라 최대 기업과 같이 합작투자 사업(Joint venture)을 했는데, 각 회사 투입 인원들의 CV(Curriculum Vitae, 이력서)를 취합하다 보니 무언가 이상한 부분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타타그룹의 직원들 이력은 다양한 회사에서 일관된 직무를 수행했는데, 우리 회사 직원들의 이력은 일관된 회사에서 다양한 직무를 수행했다는 점이었습니다. 우리는 전자의 경우를 스페셜리스트(Specialist)라 하고, 후자의 경우를 제너럴리스트(Generalist)라 합니다. 물론 한국의 1980-90년대처럼 고도성장하는 사회에서는 한 회사에 로열티가 높은 제너럴리스트가 미덕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확실성이 큰 기술 집적 사회에서도 그것이 통용될 수 있을까요? 그때부터 머릿속에 맴돌았던 생각은, 과연 내가 우리 회사 밖을 나가서도 밥을 제대로 먹고살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이었습니다. 책상에 앉아 저의 직속상관들을 보면서, 나의 5년 후, 10년 후 미래 그림을 그려보는데, 과연 저 인생이 내가 가야 할 방향일까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는 말이지요. 그러던 중 인사 시즌이 되었고, 학력과 자격증 등 스펙이 우리나라 0.1% 정도 되는 부장님의 퇴직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몇 달 뒤 부장님이 어떻게 지내는지 얘기를 들어보니, 딱히 별다른 직업을 못 구하고 있었습니다. 분명히 나보다 좋은 학교를 나오시고, 내가 범접할 수 없는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시고, 대기업에서 30년가량 업무를 하면서 경력을 쌓았는데, 왜 우리 회사를 나가서 동등 레벨 혹은 유사 레벨의 직업을 구하지 못하실까.
양동신
2021-09-02
'똑게 리더'가 추구해야 할 5가지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능력주의(Meritocracy)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데요. 사실 직장이라는 조직생활을 실제로 접해보지 않은 분들이 추상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주의는 개인의 성적주의와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직의 관점으로 보면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아무리 똑똑한 리더라 할지라도 직원들과의 유대감이 상실되면 실적을 낼 수 없다는 말입니다. 사람의 능력은 한계가 있다 보니, 아무리 뛰어난 리더라 할지라도 실무자보다 해당 업무에 정통할 수는 없는 것이고, 실무자보다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며 해당 업무를 할 수는 없습니다. 게임으로 비유하자면 철권과 스타크래프트로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성적주의 개념으로 보자면 개인 대 개인이 싸우는 철권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리더십의 관점에서 보자면 스타크래프트가 될 수 있습니다. 철권은 자신의 능력을 통해서 뛰어난 기술을 발휘하며 상대방을 이길 수 있지만, 스타크래프트의 경우 끊임없이 인적자원을 만들어내고 개발하고, 지하자원을 캐며 생산성을 늘려가야 상대방을 이길 수 있습니다. 스포츠로 보자면 양궁과 축구 정도로 비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무리 개인의 능력이 뛰어난 축구 감독이라 할지라도, 선수의 능력을 활용하지 못하면 게임에서 이길 수 없을 것입니다. ​ 직장에서도 유사합니다. 아무리 매니저나 디렉터, 대표이사가 능력이 뛰어나다 하더라도, 본인이 스스로 매사에 등판하기 시작하면 답이 없어집니다. 숲은 보지 못하고 나무만 보게 되며, 본인이 어느 나무 앞에 오랜 시간을 머무는 사이, 다른 나무를 관리하는 팀원들은 우왕좌왕 길을 잃게 됩니다. 물론 본인도 과거 한 업무만 맡았을 때 잘했던 기억을 떠올리며 멋지게 치고 나가는 일을 하고 싶겠지요. 하지만 관리자의 리더십 영역으로 오자면 더 이상 그러한 실무능력이 당신의 능력이 아니라 관리능력이 당신의 능력이 되는 것입니다. ​ 최근에는 리더십이라는 용어를 그다지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양동신
2021-08-05
기업의 적정 부채비율은 어느 정도일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시장에서 여러 기업을 바라보다 보면 각 기업들의 부채비율이 상이함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는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며 부채비율이 높으면 막연히 안 좋은 것이라고 인식을 하는데요. 미국 기업들의 재무상태표를 보다 보면 그것도 또 답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일례로 현존하는 세계 최고 시가총액 기업인 애플의 경우는 부채총계를 자본총계로 나누어 보면 400%에 가까운 숫자가 나오게 됩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부채비율이 약 37% 수준인데요. 그렇다면 애플의 부채비율이 좋은 것일까요, 삼성전자의 부채비율이 좋은 것일까요. 오늘은 기업의 자본구조에 대해 한번 들여다보겠습니다. 부채비율에 대한 이론 기업의 자본구조에 대한 논쟁은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1) MM이론 이탈리아계 미국인 경제학자로서 1985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프랑코 모딜리아니(Franco Modigliani)는 기업의 자본구조가 기업가치에 영향을 줄 수 없다는 모딜리아니-밀러 정리(Modigliani-Miller Theory, 이하 MM이론)를 발표했는데요. 1958년 발표된 이 정리는 기업의 가치가 부채의 사용유무와 관련이 없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게 무슨 말인가 잘 이해가 가지 않을 수 있는데, 쉽게 부동산의 예를 들어 보시지요. 여기 같은 10억원의 아파트 A, B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아파트의 경우 모두 저축한 돈으로 구입한 자산이고, B아파트는 자본 20%에 담보대출 80%로 구입한 자산입니다.
양동신
2021-07-07
해외여행 못잖은 '남산 건축기행'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코로나 시대에 불편한 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그중에서 가장 아쉬운 부분 중 하나는 해외여행을 가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해외여행의 경우 휴양지에 선택하기도 하지만, 유럽 등지로 건축이나 역사유적 같은 문화재를 보기 위해 가기도 합니다. 전자의 이유로 최근 제주도나 강릉 같은 곳에 사람들이 많이 몰린다고 하던데, 후자의 이유라면 서울 남산 인근도 꽤 많은 문화재가 있어 우리의 니즈를 만족시켜줄 수 있습니다. 먼저 남산이라 하면 조금 광범위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 저는 지하철 4호선 회현역을 기점으로 시작해보고자 합니다. 회현역은 남대문시장이 위치한 회현동에 있는 지하철역인데, '서울로 7017'로 바로 이어져서 서울역 일대 건물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서울역사 먼저 서울역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늘 우리에게 익숙한 서울역이지만, 이 옛 서울역사는 1925년에 지어진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일부를 담당하고 있는 건축물입니다. 1922년 착공하여 1925년 완공된 이 서울역사는 완공 당시엔 안타깝게도 경성역이었습니다. 신팔라디오 양식(Neo-Pallaidan)의 근대적 건축물인데, 쓰카모토 야스시가 설계를 했습니다. 신팔라디오 양식은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건축양식인데, 싱가포르의 구 국회의사당으로 알려져 있는 더 아트 하우스(The Arts House)로 유명합니다.
양동신
2021-06-11
기업가치,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우리나라 가계자산의 부동산 편중은 늘 지적되어 오던 것입니다. 2018년 한국은행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 따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약 8726조원)’ 중 약 75%는 주택 및 주택 외 부동산으로 집계되어 있습니다. 나머지 약 25%를 차지하는 순금융자산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보험과 예금이 2/3가량을 차지하고, 나머지 1/3가량이 증권이나 펀드 등에 가입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참조 - 2018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 작성 결과) 하지만 이러한 흐름은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점차 변화의 바람을 맞이하고 있는데요. 암호화폐는 물론 최근 잇따라 진행되고 있는 기업공개(IPO)에 대한 관심 등을 고려하면 변화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부동산의 경우 안전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고 비교적 자산 가치의 등락이 크지 않지만, 암호화폐나 주식 등은 단기간 가치의 등락이 커서 제대로 알지 못하고 투자하면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의 가치 우선 암호화폐의 경우 자산 가치를 측정하기 쉽지 않습니다. 작년에 기록적인 실적을 보여줬던 아크 인베스트(ARK invest)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자산 가치는 다른 자산과 낮은 상관관계(Low correlation)를 갖습니다. 비트코인은 주식(S&P500), 채권, 금이나 원유, 신흥국 통화 등 전통적인 자산과는 별로 관련이 없는 가치의 흐름을 보여줍니다. 물론 포트폴리오 구성 차원에서 주어진 투자금액으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투자 자산에 포함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다만 암호화폐 자체로 가치를 평가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찰리 멍거(Charlie Munger) 같은 투자자는 암호화폐에 대해 극도로 경계하는 의견을 제시하곤 합니다. (참조 - 버핏 단짝 멍거 “비트코인 역겹다”)
양동신
2021-05-10
'파이어족'의 시대 월급의 가치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파이어족'의 시대 최근 자산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다 보니 본업에서 성과를 내는 것보다 부동산이나 주식, 가상화폐 등에 투자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회사 내에서 직급과 자산의 상관관계가 높은 편이었습니다. 예컨대 대리 과장 등 하위 직급자들이 24평 아파트에 산다고 하면 부장 임원 등 고위 직급자들은 48평 아파트에 사는 것처럼 말이지요. 하지만 최근 몇 년간만 놓고 본다면, 하위 직급자들 중에 리스크를 짊어지고 부동산이나 테슬라, 비트코인 등에 투자한 분들은 상당한 자산 상승을 맛볼 수 있었습니다. 반면에 이러한 리스크를 회피하여 투자와는 전혀 상관없이 일만 하며 살아가던 일부 고위 직급자들은 오히려 '벼락 거지'라는 신조어에 해당하게 되며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본업에서 성과를 내 회사에서 진급하는 것을 목표로 두기보다는, 오히려 단기간에 자산 가치를 끌어올려 이른바 '파이어(FIRE)족'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분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 파이어(FIRE)족 : 경제적 독립(Financial Independence)과 조기 은퇴(Retire Early)의 첫 글자를 딴 신조어. (참조 - ‘파이어족’ 진짜 있네… “투자로 35억 벌어 29살에 퇴사했어요”) 물론 이로 인해 좋아진 부분도 있습니다. 예전처럼 회사 진급에 다들 목숨 걸지 않기 때문에 부당한 일에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내기도 하고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리기도 합니다. 본업의 가치 하지만 생애주기 관점에서 보자면 여전히 본업의 가치는 인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며,
양동신
2021-04-14
"이건 자선사업이 아닙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빌 게이츠가 오래만에 책으로 돌아왔습니다. 1999년 '생각의 속도' 이후 무려 22년 만의 귀환이지요. '생각의 속도'의 원제목은 'Business @ the Speed of Thought'인데, 이는 사업과 기술을 통합적으로 사고하는 세계 최고 소프트웨어 기업의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충분히 전문성을 가지고 설파할 수 있는 주제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책의 제목은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How to avoid a climate disaster)'인데요, 사실 처음 이 책의 제목을 보고 다소 의아하기는 했습니다. (참조 -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물론 빌 게이츠는 그간 계속해서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의 수장을 해왔던 것은 아닙니다. 20세기 말부터 세계 최고의 부자 타이틀을 유지하던 그는 2008년부터 MS에서 전일제 근무를 그만두고, 2020년에 이르러 완전히 이사직에서 떠나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이하 게이츠 재단)'에 전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게이츠 재단은 본래 세계 보건 및 개발, 교육 등을 중심으로 시작한 자선단체인데, 이와 관련하여 아시아 및 아프리카 등 다양한 개발도상국을 다니며 빌 게이츠는 자연스럽게 기후변화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에너지 인더스트리에서 근무하는 필자는 책이 보이자 즉시 서점에서 구입해 퇴근길에 단숨에 읽기 시작했습니다. 과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출신이자 세계 최고의 부자였던 빌 게이츠가 보는 기후변화는 어떤 것일지 궁금했기 때문이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저는 빌 게이츠와 같은 시대를 살아갈 수 있어서 참 다행이란 말을 하고 싶습니다. 그는 똑똑하고 부유하기도 하지만 착하기도 하며 유능하기까지 합니다. 그럼 책을 좀 들여다보면서 이야기를 조금 더 이어가 보겠습니다.
양동신
2021-03-19
로마시대 건물도 멀쩡한데 한국 아파트는 왜 30년만 되면 다시 짓느냐고 하면..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아파트의 수명 우리나라 아파트에 대한 이야기를 논하다 보면 가장 빈번하게 마주치는 주제가 철골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현재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 별표 1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노후 건축물 기준은 준공 후 30년을 적용받고 있는데(1986년 이후 준공연도 구조물), 2014년 이전까지는 준공 후 40년 이후 구조물에 적용되었습니다. 물론 오해하지 말아야 하는 부분은, 이 30년 혹은 40년의 재건축 연한은 어디까지나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토지 소유자가 재건축 연한이 지나 안전진단 요청을 하더라도 안전진단 결과가 A~C 등급이 나온다면 유지 보수가 되어야 하며, D~E 등급으로 가야 재건축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우리나라 아파트의 수명은 아무리 법적인 재건축 연한이 30년에서 40년이 되더라도, 30년이나 40년과 같이 딱 떨어지는 숫자가 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안전진단 결과에 따라 각기 달라지기 때문이지요. 같은 사람이라도 성인이 되기 전 유명을 달리하는 분이 계신가 하면, 환갑이 되어서, 혹은 백 살이 넘어서도 살아가는 분이 계십니다. 이와 같이 아파트라는 건축물의 수명 역시 환경과 구조물마다 다 달라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로마 시대? 이런 현실에도 불구하고 간혹 전문가라고 하는 분들마저 로마 시대 건축물을 운운하며 우리나라 건축물 수명을 한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양동신
2021-02-08
우리 주위에서 찾을 수 있는 현대건축 거장의 흔적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현대건축을 바꾼 3대 거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이 세 사람이 거론됩니다. 르 코르뷔지에 (Le Corbusier, 1887~1965),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Frank Lloyd Wright, 1867~1959), 그리고 미스 반 데어 로에 (Mies van der Rohe, 1886~1969). 이들보다 조금 앞선 시기 유명한 건축가로는 안토니 가우디(Antoni Placid Gaudi i Cornet, 1852~1926)를 들 수 있는데, 가우디는 석조 건축문화의 마지막 인물 정도로 볼 수 있을 것이며, 3대 거장은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현대건축에 도입한 분들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분들은 이전 세대와 다르게 철골과 철근콘크리트, 그리고 유리를 건축에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덕분에 우리는 주거환경을 급격히 개선할 수 있게 되었는데, 그들의 흔적을 우리나라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럼 이분들의 이야기와 우리나라의 빌딩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르 코르뷔지에 3대 거장 중 르 코르뷔지에는 스위스에 태어나 프랑스에서 주로 활동하던 건축가입니다. 본래 이름은 샤를 에두아르 잔레그리 (Charles-Édouard Jeanneret-Gris)인데, 르 코르뷔지에라는 이름은 필명으로, 외할아버지 이름에서 변형하여 작명한 것이라고 합니다.
양동신
2021-01-13
주택공급 어떻게 할 것인가? (feat. 재개발, 재건축, 리모델링)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최근 부동산 가격이 단기간 급등하면서 주택 공급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도시사적 관점에서 본다면 전통적인 주택 공급의 방법은 교외화(Suburbanization)입니다. 미국의 예를 든다면, 이는 19세기 말부터 시작되었는데, 이 시기 주요 원인은 전차의 발명이었습니다. 전차가 발명되고 사용되면서 보행도시(Walking city)의 경계가 확장되었기 때문입니다. 이게 20세기로 넘어가면 자동차 교통, 전화의 보급, 소득증대의 이유로 급속하게 도시가 확장되기 시작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우리나라에서 20세기 말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 지방 도시들을 다니다 보면 가장 부동산 수요가 높은 지역은 전통적인 주거지역이 아닌 신시가지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순천 신대 지구, 천안 불당동, 목포 남악 신도시 등이 그러합니다. 그러다 보니 기존 도심은 슬럼화되고 소득이 높은 젊은 부부들은 대부분 신시가지에서 모여 살아가는 형태를 보입니다. 이러한 스프롤 현상(Urban Sprawl)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의 주요 도시들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서울의 경우는 그나마 그린벨트라는 안전망이 존재하여 과도한 난개발에 의한 도시확장은 무분별하게 이어지고 있지 않습니다. 서울의 경우는 그렇게 물리적으로 확장하며 공급을 해나갈 수 없기 때문에 공급 확대의 대안으로 등장하게 되는 것이 재개발, 재건축, 리모델링입니다. 서울 재개발과 뉴타운 서울에서 재개발은 2002년 서울시에서 추진한 뉴타운 정책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습니다. 뉴타운은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에 따른 대규모 재개발을 말하는데, 도시의 낙후된 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기반 시설을 확충하는 데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양동신
2020-12-16
아파트에도 '빈티지'가 있습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잘 사는 나라와 그렇지 않은 나라의 차이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가장 피부로 느껴지는 것 중 하나는 '취향'입니다. 취향을 영어로 하자면 preference라 할 수 있는데, 어떠한 객체에 대한 호오(好惡)를 명확히 표현할 수 있음을 말하죠. 취향과 잉여 이를 가장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는 '음식'입니다. 15년 전 필자가 오스트레일리아에 처음 갔을 때, 가장 신기하게 보였던 부분은 제이미 올리버(Jamie Oliver)라는 존재였습니다. 사실 그는 영국 에식스 출신인데, 그의 방송과 책들은 영연방(Commonwealth of Nations) 국가들 대부분에서 인기를 얻고 대중문화를 강타하고 있었죠. 물론 당시 제이미 올리버와 더불어 양대 스타 셰프라고 할 만한 고든 램지(Gordon James Rambsay Jr.)도 돋보였습니다. 이러한 스타 셰프들의 미디어 장악은 흥미롭게도 최근 한국의 형태와 비슷한데, 제이미 올리버는 백종원, 고든 램지는 이연복 셰프 정도로 비견될 수 있겠습니다. 역사적으로 보더라도 강대국이라 할 수 있는 이탈리아, 프랑스, 중국 등의 국가들은 여전히 음식에 있어 그 특성을 유지해 나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죠. 와인의 예를 들더라고 구대륙 와인이라 하는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등의 산지는 전통적인 선진국이었고, 신대륙 와인이라 하는 미국, 호주, 칠레, 남아공 역시 새로운 선진국의 개념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입니다. (칠레와 남아공이 좀 걸리긴 하지만, 그들도 각기 대륙에서는 최고 선진국이므로) 이처럼 취향이라 함은 한 사회가 잉여(Surplus)라는 것을 축적해 나갈 때 발현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맛의 취향이라 함은 보릿고개를 면치 못하던 과거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이전에 경험할 수 없었던 영역의 것들이죠. 과거 어르신들은 그저 손님이 오면 고봉밥과 같이 많이 주는 게 예의였지만, 현재 손님들에게 밥을 많이 퍼서 주면 요리는 먹지 말라는 것이냐는 눈치를 받을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1940년대 밥공기의 용량은 약 680ml였는데, 현대 밥공기의 용량은 약 190ml로, 약 1/4가량 밥을 섭취하는 양이 줄어들었죠.
양동신
2020-11-17
1
;